눈두덩이 부음 붓기 증상원인! 가만두면 안되는 이유


누구나 한번쯤 아침에 일어나보니 눈가가 붉게 부어 올랐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눈 주변 피부는 신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해 훨씬 얇고, 혈관이 복잡하게 모여 있는 정교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요.


이러한 특성 때문에 눈두덩이 부음, 붓기 증상을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해당 증상의 원인을 살펴보겠으니 걱정이셨던 분들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눈두덩이 부음 여러 이유

눈두덩이 부음의 경우 통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데, 이는 개인차와 그 원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눈두덩이 붓기 현상과 동시에 가려움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증상의 주요원인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눈꺼풀염, 다래끼 그리고 나트륨 과다섭취 입니다. 아래 각각의 특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증상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증상으로는 눈의 충혈, 가려움, 눈물, 그리고 눈두덩이 부음 등이 있는데요. 이 중 눈두덩이 부음은 안와주변의 염증이나 부종으로 인해 눈꺼풀이 밀려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눈꺼풀 내면을 둘러싸는 결막에 알레르기로 인한 염증이 생겼기 때문에 발생하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알레르기로는 꽃가루나 집먼지진드기 또는 동물의 비듬 등이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전염성을 띄고 있다는 점인데요. 때문에 증상확인 시 눈을 만지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 눈꺼풀염

‘안검염’이라고도 불리는 눈꺼풀염은 눈꺼풀이나 눈꺼풀 테두리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호르몬 부족, 노화 과정 또는 세균감염 등이 원인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눈꺼풀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눈 부종이 있습니다, 여기에 가려움증 또한 있을 수 있는데요. 위에서 설명한 결막염과 함께 눈두덩이가 붓고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이는 염증이나 세균감염의 가능성이 높으니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염증은 신체의 자연적인 방어기제로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인데요.


염증이 발생하면 혈관이 팽창하고 해당 부위로의 혈액순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열이 발생하며 이때 통증이 함께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특성을 인지하여 눈두덩이 붓기 증상을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평소와는 달리 눈물이 끈적거리거나 눈꼽이 많이 생기는 것도 눈꺼풀염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 다래끼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할 수 있는 흔한 눈 질환 중 하나가 바로 ‘다래끼’ 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특히 다래끼가 반복적으로 생기는 성향이 있는데, 이는 눈꺼풀의 기름샘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다래끼는 이 기름샘에 세균이 들어가 감염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다래끼가 매우 커지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치료 받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 나트륨 과다섭취

눈두덩이 붓기의 일상적이고 매우 흔한 원인 중 하나가 나트륨 과다섭취 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이를 간과하곤 하는데요.


라면, 떡볶이, 마라탕과 같이 짜거나 매운 음식들을 먹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러한 음식들이 눈두덩이를 붓게 하는 이유는 체내 수분 배출을 방해하기 때문인데요.


이런 경우 눈 주변 뿐만 아니라 전신에 붓기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물론 일시적으로 붓기가 감소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생활패턴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취침 전 음식 섭취를 피하고 가능한 짠 음식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눈두덩이 부음 붓기 증상원인 이유 썸네일

지금까지 눈두덩이 부음의 다양한 원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앞서 말씀드린대로 눈두덩이 붓기는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자연스럽게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질병이나 증상들과 마찬가지로 눈두덩이 붓기 또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눈두덩이 부음이 지속되거나 통증이 오래 이어진다면 반드시 안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상담을 받아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